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31

[한겨레신문] 홍성수 칼럼 연재기간: 2024.1 ~ 현재 극우 포퓰리즘이 몰려온다 2025-02-11법의 주인은 누구인가 2025-01-01 정치의 사법화 부른 태만 2024-11-27 ‘지옥에서 온 판사’ 잘나가는 이유 2024-10-23 명예훼손죄 존폐를 묻는다 2024-09-11 유엔의 ‘특별 당부’, 대통령이 답할 때 2024-08-06 교육은 없고 ‘시험’만 남은 로스쿨 2024-07-02 학생인권조례 폐지, 국회가 막을 수 있다 2024-05-28 처벌 위주의 진상규명을 넘어서 2024-04-23 이언주, 장진숙, 임태훈…민주당의 자가당착 2024-03-20 과잉 형사입법과 검찰개혁 2024-02-14 이민정책은 ‘동료 시민’ 정책이다 2024-01-10 2025. 2. 18.
[경향신문] 홍성수의 물구나무 연재기간: 2021.1 ~ 2022.2 구조적 차별을 부정한다면 단문 메시지 정치의 명암 실종된 인권정책을 찾습니다. 정치인만 모르는 차별의 빨간불 대선, 혐오에 대응할 준비는 되어 있나 여혐 손가락 논쟁을 넘어서 여가부 폐지로 풀 수 있는 문제는 없다 이준석 대표! 문제는 '할당제'가 아니야 혐오로 해결되는 문제는 없다 더이상의 침묵은 중립이 아니다혐오를 선동하는 정치 성소수자 차별은 현재진행형 정의당 성폭력 사건의 교훈 ‘검찰개혁 시즌2’ 성공하려면 2025. 2. 18.
[논문] 법정책 대상으로서의 여성과 여성혐오 "법정책 대상으로서의 여성과 여성혐오", 『이화젠더법학』,16권 3호, 2024.12, 1-36쪽.  여성이 법정책의 대상이라는 점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우리 헌법과 여러 법률에서 여성을특정하여 법정책의 대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의 여러 변화로 인해 여성이법정책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해졌다. 이 논문에서는 여성이 법정책의대상일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반영하는 입법과 법개념은 어떤 것들이 있을 수 있는지, 그리고그 이론적, 실천적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고찰은 여성 법정책이 나아갈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첫째, 여성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기 위해 발달해 온 여러 법제는 여성을 특정하고 있지 않다. 사실 헌법의 평등권.. 2025. 1. 7.
Biography - Sung Soo Hong Sung Soo Hong is a professor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is main areas of research are jurisprudence, socio-legal studies, and human rights law, and he has recently studied the issues of human rights, discrimination, hate speech, and hate crimes. He has focused on the role of law in these areas. His recent Korean publications include Reason in Law: Understanding Law with Films (2019), Huma.. 2024.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