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술논문_publications33

[논문] 법정책 대상으로서의 여성과 여성혐오 "법정책 대상으로서의 여성과 여성혐오", 『이화젠더법학』,16권 3호, 2024.12, 1-36쪽.  여성이 법정책의 대상이라는 점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우리 헌법과 여러 법률에서 여성을특정하여 법정책의 대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의 여러 변화로 인해 여성이법정책의 대상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해졌다. 이 논문에서는 여성이 법정책의대상일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반영하는 입법과 법개념은 어떤 것들이 있을 수 있는지, 그리고그 이론적, 실천적 의미가 무엇인지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고찰은 여성 법정책이 나아갈방향을 설정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첫째, 여성에 대한 차별을 금지하기 위해 발달해 온 여러 법제는 여성을 특정하고 있지 않다. 사실 헌법의 평등권.. 2025. 1. 7.
[논문] 법과 정치의 분화와 통합 홍성수, "법과 정치의 분화와 통합", 『법과 정책』, 29집 3호, 2023.12, 281-318쪽. 초록 정치의 사법화는 오늘날 중대한 정치적, 사회적 문제 중 하나로 거론되고 있다. 발전국가에서부터 체제이행기에 있는 국가, 선진국까지 전세계적인 현상으로 이해되고 있으며,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이 논문에서는 정치의 사법화 문제를 법과 정치의 분화와 통합이라는 관점에서 검토해 보고 잠정적인 대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루만의 체계이론을 바탕으로, 법과 정치의 기능적 분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루만의 체계이론에 따르면, 법은 자율적 체계로서 정치로부터 분화되었으며 사회적 기대를 안정시키는 사회적 기능을 함으로써 정치를 안정시킨다. 정치 역시 법에게 정치적 결정의 이행을 맡김으로써 정치적 부담을.. 2024. 2. 23.
[논문] 공직선거에서의 혐오표현 홍성수, "공직선거에서의 혐오표현: 더 강력한 규제가 필요한가? 더 많은 자유가 필요한가?", 『법학연구』, 32권 1호,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113-137쪽. 2022. 1. 27.
[논문] 1990년대 이후 한국에서 인권의 발전과 문재인 정부 5년 홍성수, "1990년대 이후 한국에서 인권의 발전과 문재인 정부 5년", 『인권연구』 4(2), 2021, 177-198쪽. [초록] 인권정책의 관점에서 문재인 정부의 5년을 평가하는 것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거의 모든 정부 정책이 인권의 관점에서 평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세부사항에 대한 평가는 다른 기회로 미루고, 일단 여기서는 평가의 관점을 제시하고, 몇 가지 점에 대한 대략적인 평가를 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먼저, 1990년대 이후 한국에서의 인권의 발전을 돌아보고, 문재인 정부가 어떤 시대적 과제를 안고 출범하게 되었는지 살펴본다. 2000년대 이후 한국의 인권 담론은 1) 국제인권체제에 편입, 2) 인권의제의 분화, 3) ‘인권침해’에서 ‘혐오・차별’로의 이동, 4) 인권의 제도화, 5.. 2022.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