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술논문_publications33

[논문] 차별이란 무엇인가 : 차별금지법상 차별금지사유의 의의 홍성수, "차별이란 무엇인가 : 차별금지법상 차별금지사유의 의의", 법과사회 66권, 2021, 25-70쪽 Ⅰ. 들어가며 Ⅱ. 차별의 개념 Ⅲ. 차별금지사유의 의의 Ⅳ. 차별금지사유를 정하는 기준과 원리 Ⅴ. 차별금지법상 차별금지사유 목록에 대한 검토와 제안 Ⅵ. 나아가며 2020년 여름부터 차별금지법 입법 논의가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차별금지법의 세부쟁점에 관한 논의가 불충분한 상황이고, 심의과정에 참고할만한 자료도 부족하다. 차별금지법에 반대하는 입장도 있는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차별금지법에 대한 논의가 더욱 심화될 필요가 있다. 차별금지법상 차별의 개념에는 차별금지사유, 차별금지영역, 차별행위, 차별의 종류, 차별의 예외 등의 세부 쟁점이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차별금지사유에 관한 쟁.. 2021. 4. 20.
[논문] 혐오표현의 해악과 개입의 정당성: 금지와 방치를 넘어서 홍성수, "혐오표현의 해악과 개입의 정당성: 금지와 방치를 넘어서",『법철학연구』, 22(3), 2019, 27-64쪽 2019. 12. 21.
[논문] 혐오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혐오에 관한 법과 정책 홍성수, "혐오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혐오에 관한 법과 정책", 『법학연구』, 30권 2호,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5, 191-228쪽. Ⅰ. 들어가며 Ⅱ. 혐오의 개념 Ⅲ. 혐오 관련 법제의 현황 Ⅳ. 혐오에 관한 법정책의 문제점과 과제 Ⅴ. 나아가며 한국사회에서 혐오(hate)가 사회현상으로 등장한 것은 2013년 이후이다. 그 이전에 혐오는 주로 무언가를 싫어하는 개인적인 감정을 뜻하는 것이었으나, 2013년 이후부터는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대한 차별적인 혐오라는 말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 논문에서는 이것을 일상적 의미에서의 혐오와 구분하여 ‘사회현상으로서의 혐오’라고 부르고자 한다. 이러한 혐오는 개인의 개인적이고 일시적인 감정이 아니라, 이데올로기화되어 있어 확산성을 가지고 있.. 2019. 12. 21.
[논문] 차별금지법상 차별적 괴롭힘에 관한 연구 홍성수, "차별금지법상 차별적 괴롭힘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59집,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2019.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