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1

서평, 김동춘 외 엮음, 편견을 넘어 평등으로: 인권을 위한 강의 인권실천시민연대 웹진 [사람소리] 119호, 2006.7.5. http://www.hrights.or.kr/note/read.cgi?board=hongsungsu&nnew=2&y_number=5 인권을 위한 강의 김동춘·한홍구·조효제 엮음, (창비, 2006) 이제 대학에서 인권관련 강의를 접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다. 비제도권에서 알음알음 열리던 인권강좌가 이제는 대학 교양 강의의 하나로 자리를 잡았기 때문이다. 실제로 1990년대 이후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현대사회와 인권”, “세계화시대의 인권”, “평화와 인권”, “소수자와 인권”, “인권법” 등의 강좌를 개설해 놓고 있다. 이런 성과 중 하나로 지난 1998년 출판된 (나남, 1998)은 실제 강의에서 사용된 강의안과 학생들의 리포트를 .. 2008. 7. 23.
서평: 프리먼, 인권 이론과 실천 인권실천시민연대 웹진 [사람소리] 107호 2006.4.12. http://www.hrights.or.kr/note/read.cgi?board=hongsungsu&nnew=2&y_number=4 실천을 위한 인권이론 마이클 프리먼/김철효 역, (아르케, 2005) 인권 입문서 한국에서는 최근 몇 권의 인권서적들이 연달아 출간되었다. 덕분에 필자는 한국에서 공수해 온 여러 권의 책들 중 하나를 골라야 하는 행복한 고민을 해야 했다. 그 중 가장 먼저 집어 든 책은 이다. 사실 필자는 작년부터 이 책을 상당 부분 번역해 왔고, 저자와 저작권 문제를 협의하는 과정에서, 한글번역서가 이미 출간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필자가 이 책을 번역하여 한국에서 소개하고 싶었던 이유는, 그동안 수많은 서구의 인권문헌을 뒤져보.. 2008. 7. 23.
서평: 이상돈, 인권법 인권실천시민연대 웹진 [사람소리] 102호, 2006.3.8 http://www.hrights.or.kr/note/read.cgi?board=hongsungsu&nnew=2&y_number=3 근대적 인권개념을 넘어서 이상돈, (세창출판사, 2005)> 1. 인권을 둘러싼 몇 가지 문제 한국사회에서 인권이 담론화된지도 이제 꽤 많은 세월이 흘렀다. 그동안은 ‘인권’을 이야기하고 싸우는 것 자체가 의미있는 것이었지만, 이제는 ‘인권’이라는 담론이 갖는 의미를 차분하게 평가해 볼 시점이 된 듯하다. 그런 점에서 이상돈 교수의 이 다루고 있는 몇 가지 쟁점들은 주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이 책이 다루고 있는 첫 번째 쟁점은 “인권의 보편성”과 “근대적 인권개념”에 대한 의문이고(제1부), 두 번째는 그러한 의문.. 2008. 7. 23.
서평 : 임홍빈, 인권의 이념과 아시아가치론 인권실천시민연대 웹진 [사람소리] 44호 2005.01.05. http://www.hrights.or.kr/note/read.cgi?board=hongsungsu&nnew=2&y_number=2 인권은 보편적 가치인가? 서평 : 임홍빈, 인권의 이념과 아시아가치론 (아연출판부, 2003) 홍 성 수 ‘인권의 보편성’의 문제는 인권을 학문적으로 접근하건 실천적으로 접근하건 언제나 부딪히게 되는 문제이다. 여기서 ‘인권의 보편성’이란 인권은 시공간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동일한 원리가 적용되어야 함을 말한다. 세계인권선언의 “인류가족 모든 구성원의 타고난 존엄성과 평등하고도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인정하는 것이 전세계의 자유와 정의와 평화의 기초이며…”라는 구절과 1993년 비엔나선언 및 행동.. 2008. 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