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술논문_publications32

[서평] “법조사회학 연구에서 ‘드러내기’의 문제 – 김두식의 <불멸의 신성가족>에 대한 비평”, 홍성수, “법조사회학 연구에서 ‘드러내기’의 문제 – 김두식의 에 대한 비평”, 『청파법학』, vol.8, 2013, 355-382쪽. 1. 들어가며: 법조계의 관계망 이 세 권의 책이 공통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것은 한국사회의 여러 가지 문제(장애인 복지시설, 재벌, 투기자본)들 한국의 주류사회를 형성하는 인적 관계망에 기생하고 있다는 것이고, 그 관계망의 배후에는 법률가집단이 있다는 점이다. 물론 법률가들은 문제를 직접 만들어내는 주인공은 아니다. 그 주체들과 긴밀히 협력하여 문제를 은폐하고 조장하는 조연이다. 조연임에도 불과하고 법률가의 문제를 비중 있게 다뤄야 이유는 사회가 법률가들에게 부여한 책무 때문이다. 헌법과 법률에 의해 독립성과 공공성이 부여되어 있는 법관과 검사는 말할 것도 없고, 사적행.. 2013. 8. 17.
[보고서] 로펌 공익활동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012) 로펌 공익활동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012) 연구책임자: 홍성수 (숙명여자대학교 법학부 교수) 공동연구원: 염형국 (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변호사) 김종철 (공익법센터 어필 변호사) 보조연구원: 윤현아 (연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생) I. 로펌 공익활동 평가지표 개발의 의의 1. 로펌 공익활동의 의의 2. 평가지표 개발 방법 3. 평가지표의 개요 4. 보고서의 개요 II. 로펌 공익활동 평가 해외 사례 1. 로펌 평가기관 2. 로펌 공익활동 평가기관 3. 프로보노 상 4. 로펌 공익활동 지원기관 5. 소결 III. 로펌 공익활동 평가지표와 해설 1. 공익활동 2. 비법률분야 공익활동 IV. 요약과 과제 1. 평가지표의 의의 2. 평가지표의 활용 3. 한계와 과제 ※ 보론: 로펌 사회적 책임 지표 1... 2013. 8. 17.
[논문] 로펌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시론 홍성수,“로펌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시론”, 『법과사회』, 제43호, 2012, 297-328쪽. 1. 들어가며 현실적으로 변호사는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익을 얻는 직업이지만, 변호사에게는 ‘법률전문직’(legal professionals)으로서의 공적 책무가 부여되어 있다. 한국의 변호사법은 아예 “변호사는 기본적 인권을 옹호하고 사회정의를 실현함을 사명으로 한다”(제1조 1항)와 “변호사는 공공성을 지닌 법률전문직으로서 독립하여 자유롭게 그 직무를 행한다”(제2조)는 규정에서부터 시작함으로써, 변호사의 공적 지위를 확인한다. 하지만 이러한 규범과 실제 현실은 다소 동떨어져 있다. 변호사의 숫자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사회의 법률수요가 늘어나면서 변호사업 자체가 ‘서비스업’으로 급격하게 변모해 왔기 때.. 2013. 1. 27.
[논문] 지방자치단체의 인권조례에 대한 연구: 이념, 현실, 전망 홍성수,“지방자치단체의 인권조례에 대한 연구: 이념, 현실, 전망”, 『민주주의와 인권』, 12권 3호, 2012, 305-337쪽. 그동안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정한 인권조례에 대한 현황과 평가를 담은 글입니다. 먼저, 인권조례의 목표가 무엇이었는지 다시 따져보고, 현재 이행실적에 대해 평가와 분석을 해본 후, 결론적으로 몇가지 과제와 전망을 논하고 있습니다. 2013. 1. 27.